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연 2025-01-17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기계/화공/전자/융합 노준석 교수팀, I의 손끝에서 탄생한 3D 메타물질, 산업과 미래를 재구성하다 [노준석 교수팀, 우주에서 의료까지 초경량·초강도 소재의 새로운 가능성 열어]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 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정훈 · 노재범, 인공지능대학원 통합과정 신제현 씨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3D 기계적 메타물질*1 설계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 2025-01-1740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기계 진현규 교수 공동 연구팀, 청정 수소, 전자렌지로 단 몇 분만에 만든다 [POSTECH,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로 새로운 전환점 제시]물리학과 · 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박사과정 유재민 씨,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통합과정 이동규 씨 연구팀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청정 수소 생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을 개발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회지 2025-01-1660 화학 김원종 교수팀, 고분자 전달체, mRNA치료제의 판도 바꾸다 [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과 공동으로 mRNA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는 mR 2025-01-14967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단원자에 기반한 양자 LED 기술 개발 [POSTECH-UTS 연구진, 상온에서 작동하는 hBN 점결함 기반 ‘양자 광원’ 기술 구현]최근 POSTECH 신소재공학과 김종환 교수·통합과정 박규나 씨 연구팀은 시드니공대(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이고르 아로노비치(Igor Aharonovich)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단일 원자로 구성된 발광소재에 전하를 주입하여 2025-01-10952 기계 임근배 교수팀, 물속 붕소 제거, 스펀지 하나면 충분해 [ POSTECH, 국소적 pH조절 기술을 활용한 친환경 재생형 붕소 제거 흡착제 개발]기계공학과 임근배 교수, 박사과정 최운재 씨, 이민수 박사 연구팀은 나노채널 기반의 국소 pH 조절 기술을 이용해 혁신적인 붕소 제거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환경과학 · 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유해물질 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 2025-01-09367 물리 이길호 교수팀, 그래핀 숨은 경로 밝히고, 차세대 소자 혁신 가능성 열다 [POSTECH·日 NIMS, 이중층 그래핀의 가장자리 상태가 전자 이동에 미치는 영향 규명]물리학과 이길호 교수, 통합과정 정현우 씨 연구팀이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NIMS) 와타나베 켄지(Kenji Watanabe) 박사, 타니구치 타카시(Takashi Taniguchi) 박사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이중층 그래핀의 가장자리 상태와 전자의 이동 2025-01-09144 화공/융합 차형준 교수팀, 폐암 치료의 새로운 전환점, 홍합에서 영감을 얻다 [POSTECH · 경북대, 점막 접착성 나노입자를 활용한 흡입형 폐암 치료제 개발]최근 화학공학과·융합대학원(의공학전공)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정연수 박사 연구팀은 경북대 첨단기술융합대학 의생명융합공학과 조윤기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해 홍합에서 유래한 접착단백질을 활용한 폐암 치료용 흡입형 생체 나노입자를 개발했다.폐암은 세계에서 가장 치 2025-01-06199 물리 이길호 교수팀, 그래핀과 초전도체의 만남, 초전도 기술의 날개를 달다 [POSTECH · 日NIMS, 2차원 초전도 접합 기술로 차세대 전자기기 개발 가능성 열어]물리학과 이길호 교수, 장성 연구원 연구팀이 일본 국립재료과학연구소(NIMS) 와타나베 켄지(Kenji Watanabe) 박사, 타니구치 타카시(Takashi Taniguchi) 박사 연구팀과 협력해 그래핀과 초전도 전극의 접합 특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 2024-12-31242 신소재 한세광 교수팀, 신경계와 면역계의 연결고리, 난치병 치료의 뉴패러다임 제시 [한세광 교수팀, 광소재와 디지털 의료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치료 전략 제시]신소재공학과·융합대학원 한세광 교수, 김성종 박사 연구팀은 미국 노스웨스턴대 존 라저스(John Rogers) 교수, POSTECH 생명과학과 김종신 교수와 함께 광(光) 소재와 디지털 의료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치료 전략을 제시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번 논문은 최근 재료 분야 국제 2024-12-31168 전자 최수석 교수팀, 스트레쳐블 기술 신축성의 비밀, 색으로 풀어내다 [POSTECH 연구팀, 세계 최초 서펜타인 구조 시각화로 스트레쳐블 기술 상용화 앞당겨]POSTECH, '서펜타인' 구조 실시간 분석 및 시각화 기술 개발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 연구팀(박사과정 한상현, 신준혁, 박지윤, 석사과정 양학준, 남승민 박사)이 스트레쳐블(stretchable) 기술의 핵심인 ‘서펜타인(Serpentine)’ 구조의 변형 과정 2024-12-24202 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