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프로필

김명수 사진
교원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입니다.
성명 김명수
소속 인문사회학부
전화번호 279-2031
E-mail kms@postech.ac.kr
Homepage http://hss.postech.ac.kr/

학력

  • 1990.04 ~ 1993.03 筑波大學 (박사-체육과학박사)
  • 1988.04 ~ 1990.03 筑波大學 (석사-교육학석사)
  • 1985.03 ~ 1987.08 부산대학교 (석사-체육학석사)
  • 1978.03 ~ 1984.02 부산대학교 (학사-체육학학사)

주요경력

  • 1994.09 ~ 1995.02 : 부산대학교
  • 1993.04 ~ 1994.08 : Univ. of Tsukuba
  • 1993.03 ~ 1994.02 : 부산대학교
  • 1993.03 ~ 1993.08 : 인제대학교

전문분야

  • 스포츠심리학
  • 건강심리학

학술지

국제전문학술지

  • Exercise stages of change among university students taking fitness and sport skills course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110, 1149-1153 (2010)
  • Comparison of Korean and European women professional golfers' training time and perceptions of ideal training time,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111, 87-90 (2010)
  • Effect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ourses on intention for physical activity adherence in Korea.,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111, 458-462 (2010)
  •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PERFORMANCE NORMS OF SPORT TEAM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92, 1202-1204 (2001)
  • SELF-MONITORING, AND INDIVIDUAL EXPECTATION OF PERFORMANCE-NORMS IN SPORT TEAM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89, 1129-1132 (1999)
  • SELF-MONITORING AND PERFORMANCE NORMS OF SPORT TEAMS, PERCEPTUAL AND MORTOR SKILLS, , 85, 129-130 (1996)
  • PERFORMANCE NORMS AND PERFORMANCE BY TEAMS IN BASKETBALL COMPETI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80, 770- (1995)
  • THE TYPES OF LEADERSHIP AND PERFORMANCE NORMS OF SCHOOL ATHLETIC TEAM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74, 803-806 (1992)
  • THE RELATION OF PERFORMANCE NORMS AND COHESIVENESS FOR JAPANESE SCHOOL ATHLETIC TEAMS.,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74, 1096-1098 (1992)
  • CHANGES IN PERFORMANCE NORMS OF JAPANESE SCHOOL ATHLETIC TEAMS FROM MID- TO POST SEAS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 9, 1349-1350 (1992)

국내전문학술지

  • 웨이트트레이닝의 세트 간 휴식 시간에 따른 유도선수의 등속성근기능 및 무산소성 운동능력변화, 대한무도학회지, , 19, 43-53 (2017)
  • 웨이트트레이닝과 매트 필라테스 및 운동중지가 여성노인의 염증지표와 등속성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 25, 1421-1434 (2016)
  • 웨이트트레이닝 시 set간 휴식방법의 차이가 여성조인의 신경영양성 인자와 노화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 25, 1349-1361 (2016)
  • 걷기운동 프로그램에 의한 복부 내장지방의 감량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간의 관련성, 디지털 융복합연구, , 14, 589-596 (2016)
  • 체력관기 수업이 여자 대학생의 신체구성, 혈압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융복합연구, , 14, 607-614 (2016)
  •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교양체육 수업의 효과, 디지털 융복합연구, , 13, 329-336 (2015)
  • 디지털 시대에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걷기 운동의 효과, 디지털 융복합연구, , 13, 365-374 (2015)
  • 웨이트트레이닝 구성방법의 차이가 남성노인의 염증지표화 근 성장호르몬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 24, 1513-1526 (2015)
  • 저항운동 시 분할훈련법이 비만남자대학생의 근육동화호르몬과 아디포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 24, 1289-1302 (2015)
  • 12주간의 저항운동에서 반복횟수에 따른 set구성의 차이가 비만 중년여성의 식욕조절관련 호르몬과 HMW(고분자형) 아디포넥틴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 8, 149-157 (2014)
  • 플라이오메트릭과 고부하 저항운동 및 운동중지가 유도선수의 근 손상지표와 최대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 23, 1165-1179 (2014)
  • 체력관리 수업이 남자 대학생의 비만지표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 9, 223-232 (2014)
  • 저항운동 후 정리운동과 주간수면이 근 손상과 근 성장지표 등속성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 23, 1295-1305 (2014)
  • 규칙적인 고강도 걷기 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구성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20, 357-369 (2013)
  • 교양체육 수업형태에 따른 대학생들의 체력, 신체조성 및 정신건강,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7, 113-122 (2013)
  • 규칙적인 걷기운동이 중년여성의 심폐체력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 19, 371-380 (2012)
  • 보디빌더의 훈련 시 단세트와 다중세트의 차이가 Growth hormone, Cortisol, SOD, MDA 및 슬관절 등속성 근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 21, 1291-1304 (2012)
  • Carnitine과 Caffeine의 투여가 운동수행력과 에너지 대사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 7, 217-227 (2012)
  • 운동형태의 차이 및 Detraining이 비만중년여성의 노화관련 호르몬과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 10, 399-414 (2012)
  • 남자대학생의 혈중 vaspin 수준이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운동영양학회지, , 14, 121-125 (2010)
  • 신체 각 분절의 길이가 유연성 평가를 위한 좌전굴 측정치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한국운동재활학회지, , 6, 191-197 (2010)
  • 정상 및 비만 남자대학생의 비만, 심폐체력과 대사증후군 지표 및 HOMA-IR과의 상관성,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42, 937-946 (2010)
  •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비만 노인여성의 혈중지질, 렙틴 및 코티졸 변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36, 663-671 (2009)
  • 복부 비만남성의 인슐린저항성에 따른 심폐체력 및 혈중 지질과 글루코스 농도 변화, 운동과학, , 18, 229-338 (2009)
  • 운동행동 변화단계와 신체적 특성, 체력요소 및 생활양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37, 989-999 (2009)
  • 폐경 후 저강도 복합운동이 비만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글루코스 및 렙틴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회체육학회지, , 38, 951-960 (2009)
  • 16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체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변화,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20, 77-86 (2009)
  • 남자대학생들의 생활행동양식과 신체구성 및 혈압관련변인과의 비교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지, , 17, 227-233 (2009)
  • 무용전공자들의 재미요인 탐색, 무용학회논문집, , 56, 15-28 (2008)
  • 대학생의 운동행동변화과정이 의사결정균형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17, 155-166 (2006)
  • 초등학교 운동부를 위한 다차원적 집단규범 척도의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13, 1-13 (2002)
  • 학교 운동부 집단성원의 인생에 대한 목적의식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13, 15-27 (2002)
  • 운동부 및 스포츠 동아리 집단성원의 규범인지와 규범에 관한 사적견해의 차이,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11, 91-103 (2000)
  • 성원의 지위에 따른 운동부 및 스포츠 동아리 집단규범 인지의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 38, 211-219 (1999)
  • 학교운동부 및 스포츠 동아리의 집단규범과 성원의 규범인지 간의 차이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9, 101-112 (1998)
  • 대학체육의 교육과정과 운영에 관한 국제 비교연구, 한국체육학회지, , 35, 336-347 (1996)
  • 시즌에 따른 학교운동부 집단규범의 변화, 한국체육학회지, , 34, 2121-2127 (1995)

일반학술지

  • 운동행동변화에 대한 전이이론적 모델(TTM)의 구성요소 측정척도의 개발II, 한국스포츠리서치, , 16, 1163-1172 (2005)
  • 운동행동 변화에 대한 전이이론적 모델의 구성요소 측정척도의 개발, 한국스포츠리서치, , 15, 659-672 (2004)
  • 스포츠 집단의 응집력, 코칭능력개발지, , 4, 50-61 (2002)
  • 일본의 노 심리학자가 코치들에게 배우고 싶은 것, 한국코칭능력개발지, , 2, 45-47 (2000)
  • 卓球授業における練習場所選擇行動とパ-ソナリティとの關係, スボ-ツ敎育學硏究, , 14, 17-28 (1995)
  • 학교운동부 집단규범의 그룹 다이나믹스 -집단규범과 코치의 세력자원, 부산대학교체육과학연구소논문집, , 9, 13-30 (1993)
  • 運動部における集團規範に關する硏究., スポ -ツ心理學硏究, , 19, 7-13 (1992)

학술회의논문

  • 대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한 교양체육 수업 ‘체력관리’ 교과목의 효과 분석 및 운영 실태, 제48회 한국체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0, 0, 171-171 (2010)
  • Effect of move grow learn program on improvements in maladjustment behavior in mentally disabled individuals, ANNUAL MEETING,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0, 0, 27-30 (2009)
  • A Study on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Norm Concerning the Absence from Training and Gathering Time in a School Athletic Teams, 97 East Asian Sports Scientific Congress, 0, 0, 443-451 (1997)
  • 학교운동부 집단규범을 통해 본 그룹 다이나믹스, 한국 스포츠 심리학회 춘계 학술 발표회 논문집, 0, 0, 59-74 (1995)

학회발표

  • Muscle strenftheninf effect of ursolic acid on resistance trained-men, ., 0, 0, - (2014)

단행본

  • 스포츠 문화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마케팅, 도서출판 나루, 238, KIM, MS (2022)
  • 학생건강 및 체력증진을 위한 맞춤형 체력관리, 도서출판 레인보우북스, , 김명수 (2011)
  • 스포츠 집단 특성과 수행, 한국 스포츠심리학회(편), 스포츠심리학 핸드북, 무지개사, 775, 김명수 (2005)
  • 스포츠심리학(집단규범과 스포츠집단), 도서출판 태근, 572, 김명수 (2005)
  • 수학이 거북한 사람을 위한 다변량해석 가이드, 대한미디어, 176, 김명수 (2003)
  • 집단규범과 스포츠 집단, 한국 스포츠 심리학회(편), 스포츠 심리학, 태근, , 김명수 (1998)
  • 이기기위한 골프 심리학., 도서출판 삶과꿈,, 203, 김명수 (1995)
  • 코칭 심리학, 구덕인쇄출판사, 169, 김명수 (1995)

연구실적

  • 초등학교 운동부를 위한 다차원적 집단규범 척도의 개발, (재)한국학술진흥재단 (2000-2001)
  • 운동행동 변화에 대한 전이이론적 모델(TTM)의 구성 요소 측정척도의 개발, (재)한국학술진흥재단 (2002-2003)

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