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2021 가을호 / 기획특집 ① / 메타버스, 가상 세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2021-10-19 341

<메타버스, 가상 세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Metaverse, New Paradigm of the Virtual World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인해 많은 대면 행사가 취소되고 있는 지금, 바이러스로부터 자유로운 공간이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바로 ‘메타버스’입니다.
최근 사람들은 메타버스에서 사회적 거리두기 걱정 없이 사회·경제·문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메타버스(Metaverse)는 초월이라는 뜻을 가진 ‘메타(Meta)’와 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과 연결된 가상 공간을 뜻합니다. 다양한 기술의 융합체인 메타버스가 사람들의 일상에 더 깊숙이 파고들기 위해서는 생생한 가상 공간을 구현하는 게임 엔진 기술, 고용량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 기술, 현실과 가상의 구분이 불가능하게 만드는 인터페이스 기술이 발전되어야 하는데요. 이번 기획특집에는 이러한 메타버스를 위한 기술들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10월 29일, 기획특집의 이야기를 영상으로 만나보세요!

 


가상 세계 구축을 위한 도구, 게임 엔진

여러분은 네이버의 자회사인 SNOW에서 출시한 3D 아바타 플랫폼, 제페토(ZEPETO)를 들어보았나요? 제페토는 메타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플랫폼으로, 사람들은 제페토를 통해 자신의 아바타를 만들고, 마치 현실처럼 구현된 가상 공간에서 시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명품 브랜드들이 가상 공간에 입점하여
신제품을 공개할 뿐만 아니라 코로나19로 인해 불가능했던 유명 K-POP 가수들의 팬 미팅, 콘서트가 가상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등, 현실에서만 이루어지던 일들이 메타버스로 확장되어 나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람들이 메타버스에 몰입하는 것을 돕는 그래픽을 구현하는 데에는 ‘게임 엔진’이 이용되는데요. 그럼 게임 엔진이 무엇인지,
게임 엔진 중에서도 어떤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글. 컴퓨터공학과 20학번 26기 알리미 박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