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2019 여름호 / 포스텍 실험실

2019-07-18 429

포스텍 실험실 / 나만의 연구를 직접 수행해 보자 새내기연구참여

안녕하세요, 저는 산업경영공학과에서 진행한 ‘새내기연구참여’ 과목을 수강한 1학년 새내기 김범수입니다. ‘새내기연구참여’는 1학년 때부터 각 학과에서 진행하는 연구들을 맛보고 나만의 연구를 진행해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산업경영공학과라는 학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이 학과에서는 어떤 연구를 하는지 궁금하여 산업경영공학과의 ‘새내기연구참여’에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퇴근시간 동문 차량 사진

새내기연구참여란?

‘새내기연구참여’는 아직 학과에 대하여 잘 모르는 새내기들에게 학과에서 진행되는 연구에 직접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포스텍은 연구 중점 학교이다 보니 연구를 할 기회가 많은데, 처음 연구하는 경우에는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따라서 새내기연구참여를 통해 연구에 대한 경험을 쌓아서 나중에 연구의 밑거름으로도 삼을 수 있습니다. 새내기연구참여를 신청하게 되면 학과마다 차이는 있지만, 석 달 동안 연구 주제를 정하고, 교수님과 조교님과 함께 연구를 진행하고 보고서 작성 또는 연구 발표 시간을 통해 각자의 연구를 공유하는 시간을 가지게 됩니다.

본격적인 연구의 시작

퇴근 시간(저녁 6시에서 7시 사이)에 포스텍 동문을 보면 퇴근하는 교수님들의 차가 줄줄이 이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많은 교수님께서 퇴근할 때마다 동문에 차가 너무 많이 몰려 불편을 겪고 있다고 하셨습니다. 따라서 동문의 신호체계를 개선하여 차량 막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먼저 시작한 것은 동문에 직접 나가는 것이었습니다. 저녁 6시부터 7시까지 한 시간 동안 조교님과 함께 차가 지나가는 것을 관찰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신호를 바꿔가며 차량 막힘을 개선하고자 하였습니다.

퇴근시간 동문 차량 사진

퇴근시간 동문 차량 사진

연구 중 부딪힌 장벽

그러나 진짜 문제는 이제부터 시작이었습니다. 시뮬레이션과 같이 복잡한 수준의 프로그램을 만든 적이 없었기 때문에 시뮬레이션을 어떻게 제작할지 막막했고,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감도 오지 않아서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조교님께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조교님께서 논문을 찾는 법을 알려주셨고, 비슷한 연구를 진행한 논문들을 찾아보라고 조언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동문에서 운전하는 사람들의 정보를 제공해 주셔서 기틀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조교님의 조언을 통해 각 논문에서 시뮬레이션을 어떻게 구현하였는지 살펴보며 CA 모델과 같이 다양한 차량 시뮬레이션 모델을 찾아 보았습니다. 그리고 차량이 신호등 앞에서 급정거하지 않고 서서히 멈출 수 있도록 모델을 개선하여 동문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시뮬레이션을 제작하였습니다. 그 후에는 좌회전 신호를 먼저 켤지, 직진 신호를 먼저 켤지 신호의 종류를 바꿔보고 얼마나 오랫동안 신호를 켤지, 신호 간격을 바꿔보면서 시뮬레이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평균 차량 대기시간이 20%나 감소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새내기연구참여를 마치며

마지막 날, 다른 연구 조들의 발표를 들으면서 산업경영공학과에서 진행되는 다양한 연구들을 접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산업경영공학과에서는 어떤 분야를 연구하고 있고, 주로 어떤 역할을 해내고 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논문들을 찾아보고 읽어보며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라는 것이 무엇인지 직접 경험해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리고 포스텍에 있는 문제를 제가 직접 해결해 본다는 것이 신기했습니다. 연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진행하는 것인지 궁금하다면, 연구를 미리 경험해 볼 수 있는 ‘새내기연구참여’를 추천합니다.

연구 개요 시각화 자료,

연구 개요 시각화 자료, 신호 간격 개선 연구 결과, 차선체계 개선 연구 결과

1  연구 개요 시각화 자료

2  신호 간격 개선 연구 결과

3  차선체계 개선 연구 결과

무은재학부 19학번  김범수

무은재학부 19학번  김범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