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17 봄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 브루스 뷰틀러 교수 2011년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 브루스 뷰틀러 교수님 2011 Nobel Laureate in Medicine and Physiology, Professor Bruce Beutler 승욱아, 노벨상 수상자 인터뷰해 보지 않을래?” “기회만 주어진다면 저야 좋죠!” 가볍게 던져진 저 질문이 농담을 가장한 진담이라는 것을 누가 알았겠는가. 그렇게 필자는 2016년 11월 1 2017-05-24439 2017 봄호 / 기획특집 : 미래식량 Future Aliment 미래에 우리가 먹게 될 식량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모든 생물체는 적절한 식량을 지속적으로 섭취해야만 생명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 아주 오래 전 인류는 채집과 사냥 등으로 식량을 구하다가 농업 혁명을 계기로 식량을 직접 생산하기 시작했다. 현재는 유전자까지 변형하여 새로운 식품을 만들어 내고 있고 이 식품은 우리 식탁의 80%나 차지할 2017-05-246,560 2017 봄호 / 학과탐방 Ⅰ / 과학의 언어, 수학 과학의 언어, 수학 안녕하세요? 저는 2017년도 포스텍 수학과 학생회장 임진욱입니다. 여러분은 ‘수학’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떠오르세요? 공간도형? 미분과 적분? 확률? 경우의 수? 여러분들과 제가 사랑하는 수학에 대해 소개하고자 합니다! 가우스는 수학은 모든 과학의 여왕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물리학에서 물체의 운동을 기술할 때, 화학에서 분자구조의 안정성에 대해 논할 때, 경제학에서 주식시장의 변동을 예측할 때, 생명과학에서 생태계의 변화를 … 더 보기 "2017 봄호 / 학과탐방 Ⅰ / 과학의 언어, 수학" 2017-05-24893 2017 봄호 / 학과탐방 Ⅱ / 자연의 언어, 물리학 자연의 언어, 물리학 물리학과를 지망하는 고등학생 여러분, 우선 환영의 인사를 드리고 싶네요! 여러분은 어떤 이유에서 물리학과에 관심을 가지게 됐나요? 우주의 비밀을 알고 싶은 호기심, 자연의 이치를 탐구하고자 하는 열정이 여러분을 물리학과로 안내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훌륭한 물리학도가 되는 여정에서 부족하더라도 이정표가 될 수 있게끔 물리학과에 오면 무엇을 배울 수 있고, 연구할 수 있는지 소개하고자 합니다. … 더 보기 "2017 봄호 / 학과탐방 Ⅱ / 자연의 언어, 물리학" 2017-05-241,059 2017 봄호 / Lecture x Lab : Lecture / 화학의 뿌리 물리화학 화학의 뿌리 물리화학 안녕하십니까, 포항공대 화학과에서 햇수로 4년째 재학 중인 민승환입니다. 대학교에서는 어떤 공부를 하는지 의문을 가지는 고등학생 여러분들에게 화학과의 여러 과목들 중 ‘물리화학’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제가 고등학교를 다닐 때 생각한 물리화학은 단순히 ‘화학의 여러 파트 중 물리처럼 여러 수식과 공식으로 이루어진 분야’ 였습니다. 특히 화학2에서 배우는 엔탈피, 엔트로피와 … 더 보기 "2017 봄호 / Lecture x Lab : Lecture / 화학의 뿌리 물리화학" 2017-05-241,483 2017 봄호 / Lecture x Lab : Lab / 작은 세계를 보는 완벽하지 않은 방법 작은 세계를 보는 완벽하지 않은 방법 심지훈 교수님 LAB 물리화학(物理化學, physical chemistry, physikalische Chemie)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는 주제는 물질을 입자의 물리적 법칙을 이용해 현상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거시적인 물체가 따르는 뉴턴의 운동법칙 대신 전자는 입자와 파동의 성질을 동시에 가지며 슈뢰딩거 방정식에 의해 기술됩니다. 이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전자의 파동함수와 에너지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원자 … 더 보기 "2017 봄호 / Lecture x Lab : Lab / 작은 세계를 보는 완벽하지 않은 방법" 2017-05-24494 2017 봄호 / 세상 찾기 / 포스텍 로켓 연구단체 RC423 포스텍 로켓 연구단체 RC423 안녕하세요? 저는 포스텍 로켓 연구단체이자 스타트업 RC423의 이정락입니다. 저는 ‘지도교수 없이 연구하기’라는 주제로 제 이야기를 풀어 보겠습니다. 이 글에서 제가 왜, 그리고 어떻게 혼자 연구를 하게 되었고 창업을 하게 되었는지에 대해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아, 그 전에 저희 동아리 이름이 RC423인데, 많은 사람들이 왜 동아리 이름을 2017-05-24936 2017 봄호 / 입시 도우미 / 2018학년도 POSTECH 입학전형 2018학년도 POSTECH 입학전형 100% 학생부종합전형 선발 POSTECH은 2010학년도부터 신입생 전원을 수시 학생부종합전형(구 입학사정관전형)으로 선발하고 있다. 2018학년도 역시 일반전형 300명, 창의 IT전형 20명을 모두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할 예정이다. POSTECH이 학생부종합전형 선발의 전통을 고수하는 이유는 급변하는 미래과학계를 이끌어갈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함이다. 단순 수능이나 내신 성적이 우수한 학생이 아니라 학업 및 생활 태도, 열정, 인성 등의 다양한 면면의 … 더 보기 "2017 봄호 / 입시 도우미 / 2018학년도 POSTECH 입학전형" 2017-05-24796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414243444546474849 2020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0년 [169호] 겨울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가상 인간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인터렉티브 디벨로퍼, 김종민님 / 포스텍 프리뷰_강석형 교수님 2021-01-180 2020년 [168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우주 탐사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김무환 총장님과의 만남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의료기기혁신센터 2020-10-200 2020년 [167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빅데이터 기술, 미래의 선거 / 포스트 잇_에드믹바이오 대표이사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지능로봇연구센터 2020-07-270 2020년 [166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코로나19 / 알리미가 만난 사람_닥터프렌즈와의 만남 / 학과탐방_생명과학과, 물리학과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세포막단백질연구소 2020-0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