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19 가을호 / Creative Postechian Creative Postechian / 진정한 공학자가 되어보아요. 우리가 설계과제를 통해 현재 쌓는 지식이 직접적으로 우리의 미래 연구에 도움이 되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그 과제를 수행해 내기 위해 겪었던 시행착오들과 그를 통해 쌓인 노하우는 분명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설계과제를 끝내고 난 뒤면, 여러분들은 불가능할 것 같던 과제를 이미 완성해냈기 때문이죠. 2020-01-03327 2019 가을호 / Hello Nobel Hello Nobel / 2018년 노벨 화학상 화학 속의 진화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부터 거대한 코끼리까지, 생물이 용암이나 바다, 사막 등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유전자 돌연변이를 통해 단백질이 환경에 맞게 변화해 왔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2018년도 노벨 화학상은 화학의 진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먼저 이 노벨 화학상 업적이 2020-01-03444 2019 가을호 / 최신 기술 소개 최신 기술 소개 고체 속에서의 양자 정보 전송 성공 기존의 슈퍼컴퓨터를 만들 때 기억소자로 반도체를 사용했다면, 양자컴퓨터는 기억소자로 원자를 활용하는 컴퓨터입니다. 슈퍼컴퓨터의 한계를 뛰어넘는 이러한 양자컴퓨터 개발을 위해서는, 한 입자의 상태가 공간상 떨어져 있는 다른 입자로 전이되는 ‘양자 정보 전송’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 기술을 통해 한 장소에 축적해 놓은 정보들을 2020-01-03348 2019 가을호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 / 확장형 양자컴퓨터 기술 융합 플랫폼 센터 양자는 연속적으로는 상태 표현이 불가능한 단위 입자를 의미한다. 즉, 불연속적인 0과 1의 상태로만 표현되는 미시세계 광자, 전자, 원자가 그러한 성질을 갖고 있다. 이외에 불연속적인 에너지 준위를 갖는 초전도 회로를 구성하여 이를 인공 양자로 사용하기도 한다. 고전 컴퓨터가 표현하는 0과 1은 비트라고 하며 2020-01-03379 2019 가을호 / 세상 찾기Ⅰ 세상 찾기Ⅰ / 멘토링 캠프 속 멘토의 하루 안녕하세요. 저는 포스텍 화학과 18학번 정혜빈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학습 멘토링 캠프에 참여해 보신 적 있나요? 방학마다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양한 멘토링 캠프가 열리고 있는데요, 제가 이번 여름방학에 수학 멘토로 참여한 ‘포스코 드림캠프’도 이런 멘토링 캠프 중 하나입니다. 멘티가 아닌 멘토의 시각에서 바라본 멘토링 캠프 2019-10-31466 2019 가을호 / 세상 찾기Ⅱ 세상 찾기Ⅱ /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해외 봉사 여러분은 어떤 사람들과 어떤 환경에서, 무엇을 이루기 위해 해외 봉사를 꿈꾸고 있나요? 여러분의 작은 노트에 한 번쯤은 적어봤던 네 글자, ‘해외 봉사’에 밑줄을 그을 수 있게 이야기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포항공과대학교에서 화학공학을 공부했고, 이번에 졸업하게 된 강솔빈입니다. 저는 대학 생활 중 2학년 때 2019-10-31813 2019 가을호 / 포동포동 포동포동 / 포스텍 경영전략연구회 MSSA 안녕하세요! 저는 포스텍 경영전략연구회 MSSA(Management Strategy Student Association) 회장 18학번 전자전기공학과 전재원입니다. 여러분 혹시 창업이나 컨설팅에 관심이 있으신가요? 사업과 투자로 많은 돈을 벌고 싶다고요? 그런 여러분을 위해 비즈니스 리더를 꿈꾸는 사람들이 모인 동아리, MSSA를 2019-10-31445 2019 가을호 /Science black box Science black box /‘최고의 과학자’의 ‘최고의 파트너’ 여러분들은 역사적으로 유명한 연구 결과들이 과학자 한 명의 결실인 경우도 있지만,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한 결실인 경우도 많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그 파트너가 부부 관계라면 더 신기할 것 같은데요, 학계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협업의 중요성! 생각이 잘 통하고 마음이 맞는 파트너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최고 2019-10-31409 2019 가을호 / 공대생이 보는 세상 / 영화관 공대생이 보는 세상 / 영화관 호기심을 갖고 둘러보면, 우리가 생활하는 모든 곳에서 과학을 만날 수 있는 것 알고 계시나요? 가을호에서는 그냥 지나칠 수 있는 ‘영화관’을 알리미들의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보았습니다. 어떤 자리가 스크린이 잘 보이는지, 영화관의 의자는 왜 빨간색인지, 스크린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 3D 안경의 원리는 무엇인지 함께 알아볼까요? 기계공학과( 2019-10-31804 2019 가을호 / 복면과학 복면과학 /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케쿨레 폰 슈트라도니츠 우리는 가끔 무언가를 간절히 바랄 때 ‘꿈속에서라도…’라고 하며 소망하곤 합니다. 그런데 정말 꿈에서 나온 힌트를 통해 풀리지 않던 답을 얻은 인물이 있습니다. 바로 벤젠의 화학구조를 풀어낸 독일의 유기화학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케쿨레 폰 슈트라도니츠(Friedrich August Kekulé von Stradoni 2019-10-31722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3132333435363738394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3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4년 2023년 [180호] 주요 기사들 상온상압 초전도체 / 김성근 총장님과의 이야기 / 나르마 2023-12-120 2023년 [179호] 주요 기사들 마약-DRUGS / 2022 튜링상 /포스텍의일상을그려박서연 2023-08-210 2023년 [178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ChatGPT /알리미 온에어_알리미의 갓생 V-log /공대생이 보는 세상_공원 2023-05-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