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19 가을호 / 포스텍 에세이 포스텍 에세이 / 볼수록 매력적인 고체역학 기계공학에 관련이 없는 지인들에게 고체역학 분야를 연구한다고 말하면, 대부분 고체역학이 도대체 뭐냐고 되묻는다. 나는 아직 고체역학을 간단하면서 재밌게 설명하는 방법을 찾지 못했다. 왜냐하면 한두 마디로 간단하게 설명해서는 이 분야의 매력을 보여주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글을 통해 다양한 사례를 들어 알고 보면 생각보다 2020-01-03541 2019 가을호 / POST IT POST IT / Lise Meitner Award 수상 오은진 선배님 2년에 한 번씩, Max Planck 컴퓨터 연구소에서는 우수한 여성 컴퓨터과학자에게 Lise Meitner Award를 수여합니다. 한국인 최초로 2018년에 오은진 선배님이 수상하시며 저력을 뽐내셨는데요, 오은진 선배님은 포스텍에서 학사 과정을 졸업하시고, 석박 통합과정까지 포스텍에서 마치시면서 올해 2020-01-03970 2019 가을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알리미가 만난 사람 / 용현택 CTO님과의 만남 전 세계 다양한 사람들과 언제 어디서든 영상으로 소통할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5년 전, 사람들이 평소에 가지고 있던 이러한 갈망을 단번에 해결해준 앱이 있다. 바로 “Azar(아자르)”이다.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고, 또는 사용해 봤을 Azar를 만들어낸 기업, “하이퍼커넥트(HyperConnect)”의 초기 공동창업자 2020-01-03465 2019 가을호 / 알리미가 간다 알리미가 간다 / 알리미가 일산에 떴다 매 호 알리미들이 특정 지역을 방문해, 학생들과 대화하고 고민을 해결해주는 <알리미가 간다> 이번 가을호에서는 일산을 방문했습니다. 학생들이 8월의 무더운 날씨를 뚫고 찾아온 보람이 있을 만큼 공부, 입시, 포스텍의 대학 생활까지 많은 것들에 대해 새롭게 알아가는 유익한 시간이었다고 하네요. 친구들과 어떤 얘기를 했는지 지금 2020-01-03317 2019 가을호 / 기획특집 / 미디어 콘텐츠 시대 기획특집 / 미디어 콘텐츠 시대 요즘 들어 유튜브, 넷플릭스 등 미디어 콘텐츠 기업이 급속도로 성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전자기기의 발달로 인해 언제 어디서나 미디어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 것도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수준 높은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기술과 사용자 맞춤 정보 제공 기법, 효율적인 정 2020-01-031,557 2019 가을호 / 학과 탐방 Ⅰ / 화학과 학과 탐방 Ⅰ / 화학과 ‘화학’은 인류의 문명이 만들어질 때부터 우리의 삶에 깊게 침투한 학문입니다. 석기 시대의 사람들이 불을 이용해서 청동기 문명을 일으킨 이후 철기 시대, 연금술, 산업 혁명을 지나 다양한 고분자와 의약 발전에 이르기까지, 화학은 우리의 삶과 함께했습니다. 여러분은 ‘화학’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아마도 비커와 플라스크를 들고, 이상한 안경을 끼고, 2020-01-03327 2019 가을호 / 학과 탐방 Ⅱ / 신소재공학과 학과 탐방 Ⅱ / 신소재공학과 안녕하세요, 예비 포스테키안 여러분. 저는 제33대 신소재공학과 학생회장 이동훈입니다. 여러분께 신소재공학과의 학업을 비롯한 학생활동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신소재공학과는 우리 대학의 건학 이념 ‘소재산업 관련 연구의 세계적인 중심지로의 발전’을 바탕으로 반도체, 고분자 및 생체재료, 금속, 세라믹 등 기초소재의 구조와 물성 등 소재의 기초를 공 2020-01-03332 2019 가을호 / Creative Postechian Creative Postechian / 진정한 공학자가 되어보아요. 우리가 설계과제를 통해 현재 쌓는 지식이 직접적으로 우리의 미래 연구에 도움이 되지는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그 과제를 수행해 내기 위해 겪었던 시행착오들과 그를 통해 쌓인 노하우는 분명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설계과제를 끝내고 난 뒤면, 여러분들은 불가능할 것 같던 과제를 이미 완성해냈기 때문이죠. 2020-01-03294 2019 가을호 / Hello Nobel Hello Nobel / 2018년 노벨 화학상 화학 속의 진화 눈에 보이지 않는 세균부터 거대한 코끼리까지, 생물이 용암이나 바다, 사막 등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유전자 돌연변이를 통해 단백질이 환경에 맞게 변화해 왔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소개할 2018년도 노벨 화학상은 화학의 진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먼저 이 노벨 화학상 업적이 2020-01-03359 2019 가을호 / 최신 기술 소개 최신 기술 소개 고체 속에서의 양자 정보 전송 성공 기존의 슈퍼컴퓨터를 만들 때 기억소자로 반도체를 사용했다면, 양자컴퓨터는 기억소자로 원자를 활용하는 컴퓨터입니다. 슈퍼컴퓨터의 한계를 뛰어넘는 이러한 양자컴퓨터 개발을 위해서는, 한 입자의 상태가 공간상 떨어져 있는 다른 입자로 전이되는 ‘양자 정보 전송’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 기술을 통해 한 장소에 축적해 놓은 정보들을 2020-01-03303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2122232425262728293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0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0년 [169호] 겨울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가상 인간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인터렉티브 디벨로퍼, 김종민님 / 포스텍 프리뷰_강석형 교수님 2021-01-180 2020년 [168호] 가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우주 탐사 / 알리미가 만난 사람 _김무환 총장님과의 만남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의료기기혁신센터 2020-10-200 2020년 [167호] 여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빅데이터 기술, 미래의 선거 / 포스트 잇_에드믹바이오 대표이사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지능로봇연구센터 2020-07-270 2020년 [166호] 봄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코로나19 / 알리미가 만난 사람_닥터프렌즈와의 만남 / 학과탐방_생명과학과, 물리학과 / 포스텍 연구소 탐방기_세포막단백질연구소 2020-05-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