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 [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 IT융합공학과 박사과정 박은우 씨, IT융합공학과 삼파 미스라(Sampa Misra) 박사, 바이오프린팅 인공장기 응용기술센터 황동규 박사 2025-01-17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 노준석 교수팀, 유체로 빛의 초점 바꾸고 광 무선 통신 미래 열다 [노준석 교수팀, 유체 주입형 메타렌즈 통한 재구성 가능 지능형 표면 구현]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전기전자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김재경 씨 연구팀은 유체 주입형 메타렌즈를 이용해 광 신호를 효율적으로 조절하고,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혁신적인 광 무선 통신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어 2024-11-21227 연구성과 물리/융합 박경덕 교수팀,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 극한 나노 공간에서 자유자재로 제어한다 [박경덕 교수팀,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 개발, 2차원 반도체의 무작위 전자 확산 난제 극복 성공] 물리학과 · 융합대학원 박경덕 교수 연구팀이 초고분해 극초단 펄스 전압조절기를 개발했다. 이를 이용해 나노 공간에서 2차원 양자물질의 전자 분포를 자유자재로 조절하고, 이에 따른 전기적 · 광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전자 분포는 2024-11-21174 대학소식 POSTECH, ‘2024 중앙일보 이공계대학평가’ 공학·기초과학 부문 모두 1위 POSTECH이 명실상부 이공계 최강자로서의 위상을 다시 한번 공고히 했다. 19일 발표된 ‘2024 중앙일보 이공계대학평가’ 자료에 따르면 POSTECH은 올해 공학 부문과 기초과학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공학 부문에서는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3년 연속 1위 기록을 이어가며 변함없는 경쟁력을 입증했다. POSTECH은 △학생 1인 2024-11-201,700 대학소식 이차전지 분야 세계 석학들, POSTECH에 모인다 [POSTECH, 18일부터 20일까지 ‘POSTECH Signature Confernence 2024’ 개최] [고효율 · 저위험 배터리 기술 개발 등 이차전지 분야 연구 협력 중점 논의] 친환경 시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이차전지 분야 세계 석학들이 POSTECH(포항공과대학교)를 찾는다. POSTECH은 친환경소재대학원 배터리공학과 주관으로 18일부 2024-11-18286 대학소식 인공지능대학원 조현아 씨, 구글 PhD 펠로우십 헬스 및 바이오사이언스 분야 선정 인공지능대학원 조현아 씨(지도교수 김원화)가 ‘2024 구글 박사(PhD) 펠로우십 프로그램’ 헬스 및 바이오 사이언스 분야에 선정됐다. POSTECH 통합과정 조현아 씨는 의료 이미지 분석과 뇌 데이터 연구를 포함한 헬스케어와 인공지능(AI)을 접목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왔으며, NeurIPS, ICML, MICCAI 등 머신러닝 · 의료영상 관련 국제학 2024-11-18250 연구성과 물리 김범준·김기석 교수팀, 양자 컴퓨팅 혁신의 열쇠 ‘나선성 메커니즘’, 마침내 밝혀지다 [김범준·김기석 교수팀, 칼코젠 화합물 나선성 전하 밀도파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물리학과 김범준 교수, 통합과정 김광래·김현우·하승혁 씨 연구팀은 김기석 교수, 복진모 연구원 연구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에서 ’나선성 전하 밀도파*1(Chiral Charge Density Wave, CDW)‘ 현상을 관측하고, 그 메커니즘을 세계 2024-11-18293 대학소식 POSTECH, ‘SKERIC 글로벌 테크 스타트업 포럼 2024’ 개최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한국-스웨덴 공동 협력 및 스타트업 파트너십 가능성 모색] POSTECH이 13일 대학 캠퍼스 내 체인지업그라운드 이벤트홀에서 ‘SKERIC 글로벌 테크 스타트업 포럼 2024’을 개최했다. ‘SKERIC(Sweden Korea Education, Research and Innovation Collaborati 2024-11-14222 대학소식 “스마트팩토리 구축, 함께 해요”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 SME Week 개최 [11월 26~28일, 중소기업 대상 새로운 교육도 선보일 예정] 주영섭 전 중소기업청장은 지난 9월 POSTECH에서 개최된 스마트 제조포럼에서 “스마트 제조는 인간의 창의성에 기술을 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스마트 제조에서 사람의 의미, 디지털 전환의 의의를 찾는 교육 행사가 열린다.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는 중소 제조기업의 2024-11-1492 연구성과 화학 박선아 교수팀, 출력과 에너지, 한 구조체 안에 담다 [박선아 교수팀, 분자 단위 기공 개질로 빠르고 가역적인 산화환원 활성 유도] 화학과 박선아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고성능 에너지 저장 장치인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는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2024-11-14194 연구성과 친환경소재/신소재 김형섭 교수팀, 고온 합금의 게임체인저, 새로운 전략의 탄생 [김형섭 교수팀, 계층 구조 통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 지닌 산업용 금속 소재 개발] 친환경소재학과·신소재공학과 김형섭 교수 연구팀은 다양한 규모의 헤테로(hetero) 계층 구조를 개발해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경제성, 경량화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합금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금속 분야 국제 학술지인 ‘악타 머티리얼리아(Acta Materia 2024-11-13194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