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IT융합/기계/전자/융합 박성민 교수팀, 정전기가 생체 이식 기기 ‘수명’ 바꾼다 [POSTECH·연세대 연구팀, 안전하면서도 오래 가는 고효율 생체 이식형 기기 개발] 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통한 의료 기술 혁신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특히, 심장이나 뇌 등 몸속에 이식하는 전자기기는 생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조절해 파킨슨병 등 난치병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기술적인 한계로 한 번 이식한 전자기 2023-12-05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대학소식 POSTECH 대학원생 김성연 씨, 구글 PhD 펠로우십 선정 컴퓨터공학과 통합과정 김성연 씨(지도교수 곽수하)가 ‘2023 구글 PhD 펠로우십 프로그램’의 수혜자로 선정됐다. 최근 구글은 홈페이지를 통해 ‘2023 구글 PhD 펠로우십 프로그램’ 대상자 67명을 발표했다. 알고리즘, 헬스(health), 모바일 컴퓨팅, 자연어 처리, 양자 컴퓨터 등 13개 분야 중, 김성연 씨는 ‘기계 인식, 음성 기술과 컴퓨터 2023-11-07105 연구성과 신소재/친환경소재 김용태 교수팀, 번개맨, 번개별 대신 지구를 지켜라! [POSTECH·홍익대 공동 연구팀, 열-전기화학 전지 효율 높일 실마리 찾아] 아이들의 영웅 ‘번개맨’과 인기 드라마 ‘무빙’ 속 주인공은 전기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는 초능력을 갖고 있다. 그런데 사람의 몸에서 전기를 만드는 일이 어쩌면 초능력이 아닌 일상이 될지도 모른다. 최근 POSTECH 연구팀은 사람의 체온으로 전기를 만드는 전지의 효율을 높여 2023-10-31211 대학소식 POSTECH 최범준· 조창순 교수, 2023년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선정 수학과 최범준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조창순 교수의 연구가 ‘2023년 하반기 삼성전자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에 선정되었다. 기초 분야에서 최범준 교수의 ‘Lojasiewicz(로야시에비치) 정리와 변분방정식 점근에 관한 유일성 추측들’ 연구가 선정됐으며, 조창순 교수의 ‘플라스몬 트랜스퍼를 이용한 고해상도 · 고색순도 나노박막 광발광 디스플레이’ 연구가 소재 2023-10-31255 대학소식 POSTECH·울산의대 연합팀, 세계 의료 인공지능 경진대회 1위 수상 POSTECH·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연합팀이 국제 의료영상 컴퓨팅 및 인터벤션 학술대회(MICCAI, The Medical Image Computing and Computer Assisted Intervention)에서 주최한 세계 의료 인공지능 경진대회 ‘MICCAI 2023’에서 최근 우수한 성적을 거뒀다. POSTECH 연구진과 울산의대 연구진 총 8 2023-10-31180 연구성과 화학 박수진 교수팀, 전기차, 한 번 뽑았으면 오래 타야지 [박수진 교수팀, 듀얼 이온 전지 수명 늘리는 고분자 바인더 개발] 배터리(전지)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로 주행하는 전기차는 여러 번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가 필요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리튬 이온 전지다. 그러나 제한된 에너지 저장 용량 등 여러 한계가 제기되면서 이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새로운 배터리 시스템인 ‘듀얼(dual) 이온 전지’가 주 2023-10-30201 대학소식 다니엘 볼벤 주한 스웨덴 대사 초청 특별 강연 진행 지난 10월 12일, 다니엘 볼벤(Daniel Wolvén) 주한 스웨덴 대사가 국제관에서 대학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특별 강연을 진행했다. 볼벤 대사는 ‘작지만 스마트한 국가 – 급변하는 세계에서 스웨덴과 한국의 역할(Small, Smart Countries – The role of Sweden and Korea in a rapidly chang 2023-10-2440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물체의 형태부터 윤곽선까지 원스탑으로! [POSTECH·성균관대 연구팀, 빛에 따라 촬영 모드 전환 가능한 듀얼 메타렌즈 개발] 최근 애플에서 출시한 아이폰15 국내 사전 예약 고객 중 2030 세대 비율은 약 80%다.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바로 아이폰 특유의 감성적인 색감과 선명한 화질을 구현한 카메라다. ‘인덕션’을 떠올리게 하는 여러 렌즈 없이도 고퀄(고퀄리티)의 2023-10-23204 연구성과 신소재/친환경 김용태 교수팀, 다가오는 수소 시대, POSTECH 연구가 ‘셰르파’ 역할 할까 [김용태 교수팀,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연구 방향성 제시] ‘셰르파(Sherpa)’는 원래 티베트족 계열의 고산족을 부르는 이름이었지만, 이제는 세계에서 제일 높고 험준한 에베레스트 등반을 위한 안내자를 부르는 대명사가 되었다. 이런 셰르파처럼, 수소 생산용 촉매 개발이라는 쉽지 않은 도전과제를 위한 연구가 주요 국제 학술지 표지 논문으로 선정되 2023-10-23145 대학소식 화공 한지훈 교수,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誌 가장 많이 인용된 상위 10% 논문 선정 화학공학과 한지훈 교수의 논문이 2022년 ‘에너지와 환경과학(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학술지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상위 10% 논문(Top 10% highly cited articles)에 선정됐다. 한 교수는 지난 2021년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친환경 연료를 생산하는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 인 2023-10-13328 대학소식 화학 박문정 교수, 도레이중견학술상 수상 화학과 박문정 교수가 오늘 오전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진행 중인 한국고분자학회 추계정기총회 · 학술대회에서 ‘도레이중견학술상’을 수상했다. 고분자 전해질 합성과 분석, 이온채널구조-전도도 상관관계 등 고분자 화학 연구로 유명한 박문정 교수는 최근 전하 수송 고분자 분야에서 학문적 · 산업적으로 획기적인 발전을 이룬 공로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박 교수는 2023-10-13176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