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4주 단기 앱 개발 과정 ‘Apple 파운데이션 프로그램’ 참여자 모집 [앱 개발 과정을 통해 창의력 · 문제 해결 능력 높이는 단기 집중 교육] [2월 18일까지 참여자 모집, 만 19세 이상 누구나 신청 가능] Apple 디벨로퍼 아카데미는 코딩을 통해 창의력을 키우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는 4주 단기 앱 개발 교육 과정인 파운데이션 프로그램의 참여자를 모집한다. 프로그램은 만 19세 이상이면 학력, 경력, 성별에 2025-02-12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전자 최수석 교수팀, 스트레쳐블 기술 신축성의 비밀, 색으로 풀어내다 [POSTECH 연구팀, 세계 최초 서펜타인 구조 시각화로 스트레쳐블 기술 상용화 앞당겨] POSTECH, ‘서펜타인’ 구조 실시간 분석 및 시각화 기술 개발 전자전기공학과 최수석 교수 연구팀(박사과정 한상현, 신준혁, 박지윤, 석사과정 양학준, 남승민 박사)이 스트레쳐블(stretchable) 기술의 핵심인 ‘서펜타인(Serpenti 2024-12-24237 연구성과 생명 이윤태 교수팀, 패혈증을 이겨내는 힘, 가장자리 B림프구에서 찾다 [이윤태 교수팀, B림프구 형성 메커니즘 및 패혈증 사이의 상관관계 규명] 생명과학과 이윤태 교수, 통합과정 박종석 씨 연구팀은 패혈증을 유발하는 중요한 세포인 ‘가장자리 B림프구’의 형성 메커니즘을 밝혀내며, 패혈증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 2024-12-24160 연구성과 친환경소재 홍지현 교수팀, “산소를 잡아라!” 리튬이온배터리 수명 늘린 비결 [홍지현 교수팀, 산소 방출 억제를 통한 망간계 양극재의 장수명 구현] 친환경소재대학원 배터리공학과 홍지현 교수, 임국현 박사 연구팀은 차세대 리튬이온배터리(Lithum-ion-battery, LIB) 양극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과잉층상구조소재(LLO)*1’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전략을 개발해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는 에너지 분야 학 2024-12-24214 대학소식 POSTECH 박상기 · 노용영 · 장진아 교수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박상기 교수, 화학공학과 노용영 교수, 기계공학과·IT융합공학과·생명과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팀의 연구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2024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됐다. 박상기 교수는 ’생명해양‘ 부문, 노용영 교수는 ’정보·전자‘ 부문, 장진아 교수는 ’융합‘ 부문에서 각각 우수성과로 인정받았다. ‘국가연구개발 우수 2024-12-20252 연구성과 화공 이상민 교수팀, 인류를 위협하던 바이러스, 인류의 미래를 열다 [이상민 교수·2024 노벨화학상 수상자 David Baker 교수 공동 연구 ‘Nature’ 게재] [바이러스 모방한 나노입자 AI 설계 연구 통해 유전자 치료 기술 개발의 전환점 제시] 화학공학과 이상민 교수는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미국 워싱턴대(University of Washington) 데이비드 베이커(David Baker) 교수와 공동으로 A 2024-12-19549 연구성과 신소재/융합 한세광 교수팀, 방광암, 이제는 자가추진 나노모터로 치료한다 [POSTECH·서울의대·IBS·IBEC, 방광 내 요소 활용한 방광암 면역치료 나노모터 개발] 자율주행 자동차는 기술 혁신의 상징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은 나노 입자가 체내에서 스스로 움직이며 치료제를 필요한 곳에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떨까? 최근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팀이 이를 현실로 구현하고, 방광암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2024-12-18250 대학소식 POSTECH 교수 3인, ‘Y-KAST’ 회원 선정 [한국 과학계를 이끌어갈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 20인 중 동문 포함 5명 배출] 화학과 최창혁 교수, 기계공학과 안지환 교수, 환경공학부 조강우 교수가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Young Korean Academy of Science and Technology, 이하 Y-KAST) 이학부 및 공학부 회원으로 선정됐다. Y-KAST는 만 43세 이하의 우수한 2024-12-17367 연구성과 화공/융합 차형준 교수팀, 뼈 재생과 접착력, 가시광선으로 동시에 해결하다 [차형준 교수팀, 골 이식재와 접착력의 문제를 해결한 혁신적인 골 재생용 주사형 하이드로젤 개발] 화학공학과 · 융합대학원(의과학전공) 차형준 교수, 화학공학과 윤진영 박사, 통합과정 우현택 씨 연구팀은 무해한 가시광선을 이용해 ‘가교(cross-linking)’와 골 이식재 필요없이 ‘광물화(mineralization)’가 동시에 일어나는 골 재생용 주사 2024-12-16206 연구성과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세계 최초의 투명 초음파 내시경, 암 진단의 새 지평 열까 [POSTECH·세브란스 연세암병원,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기반 고성능 광음향 내시경 개발] 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김형함 교수, IT융합공학과 김재우 박사,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허다솜 씨 연구팀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김희만 교수와의 연구를 통해 투명 초음파 2024-12-16212 대학소식 POSTECH 강석형 교수,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 수상 [인공지능(AI) 기반 설계 자동화 연구로 반도체 설계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전자전기공학과 강석형 교수가 11일 개최된 ‘반도체 기술 로드맵 포럼 및 정기총회’에서 해동반도체공학상 학술상을 받았다. ‘해동반도체공학상’은 고(故)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 유지에 따라 반도체 인재 육성을 통한 학문과 기술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제정된 국내 최고 권위의 반도체 2024-12-13191 첫페이지로 이동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