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POSTECH, 포항의 ‘이적’을 위한 ‘기적’같은 특강 진행 [문명시민교육원 · 박혜란 작가, ‘좋은 부모가 된다는 것’ 특강] 나라마다 육아 방식이 다르고, 세대마다 육아 방식이 다르다. 어떤 문화권에서는 통용되는 부모의 훈육 방식이 또 다른 문화권에서는 외면을(손가락질을) 받을 수도 있다. 과연 어떤 부모가 ‘좋은 부모’일까? 어떻게 해야 ‘좋은 부모’가 될 수 있을까? 문명시민교육원은 4월 1일 ‘좋은 부모가 2023-03-28 READ MORE 카테고리 선택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전자·반도체 정윤영 교수팀, 범퍼카처럼 ‘쾅’ 부딪혀 메모리 성능 높인다 [정윤영 교수팀, 의도적으로 결함 만들어 데이터 저장량 증가시키는 기술 개발] [“하나의 플래시 메모리에 멀티 데이터 구현… 고성능 인공지능 반도체로 활용 가능”]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범퍼카. 이곳저곳을 시원하게 질주하는 것도 즐겁지만 주변 사람과 일부러 ‘쾅’ 부딪히면서 스트레스를 풀 수도 있다. 이러한 범퍼카처럼 입자를 의도적으로 충돌시켜 플 2022-06-21674 연구성과 화공 차형준 교수팀, ‘홍합’으로 흉터 없이 피부 되살린다 [차형준 교수팀, 홍합접착단백질 기반 무(無)봉합 피부 이식용 의료접착제 개발] [두 가지 약물로 피부 재생효과 ‘극대화’] 피부 이식술을 할 때 환자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수술 후 남는 흉터와 이식된 피부의 재생이다. 피부 이식술을 주도하는 의료인의 숙련도에 따라 봉합 후 흉터의 깊이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봉합 부위의 상처가 회복되는 데만 한 달이 넘 2022-06-16754 대학소식 POSTECH 학생, 4년 연속 국제광공학회 장학생 선정 ‘쾌거’ [올해 화학공학과 장재혁 씨·기계공학과 트레본 베드로 씨 등 2명 선정] 화학공학과 통합과정 장재혁 씨·기계공학과 박사과정 트레본 베드로(Trevon Badloe) 씨(지도교수 노준석)가 미국 국제광공학회(SPIE, Society of Photo-Optical Instrumentation Engineers)로부터 ‘2022 광공학 장학금(2022 Optic 2022-06-15314 연구성과 신소재 손준우·이동화 교수팀, 파이프라인도 ‘카멜레온’처럼 색깔 바꾼다 [손준우·이동화 교수팀, 온도에 따라 색깔 바뀌는 고체 산화물 개발] [“300℃의 고온에서도 변형 無…산업 적용 가능성 ↑”] 뜨거운 커피가 담긴 머그컵에 무심코 손을 댔다가 황급히 뗀 경험이 한 번쯤 있기 마련이다. 온도에 따라 ‘카멜레온’처럼 색깔이 바뀌는 컵을 사용하면, 직접 손을 대지 않고도 컵이 충분히 식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컵뿐만 아니라 산 2022-06-14758 대학소식 기업시민연구소, 국내 4개 대학과 ‘기업시민 레벨업 그라운드’ 개최 [POSTECH-포스코케미칼팀 장려상 수상] POSTECH 기업시민연구소는 성균관대, 숙명여대, 서울여대, POSTECH와 함께 ‘기업시민경영과 ESG’ 수업의 일환으로 ‘기업시민 레벨업 그라운드’를 최근 개최했다. 기업시민연구소는 ESG 시대 기업경영의 새로운 트렌드인 기업시민경영을 학생들에게 알리고자 22년 1학기에 성균관대, 숙명여대, 서울여대, PO 2022-06-13610 연구성과 기계 이승철 교수, 물리 이론 학습하는 인공지능 탄생, 응용문제도 ‘척척’ [KRISS‧포스텍 공동연구팀, 물리 이론 학습하는 AI 음향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음향‧소음‧진동 실시간 감지 및 최적화 가능해 스마트 팩토리, 디지털 트윈에 활용 전망]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원장 박현민)과 포항공과대학교 공동연구팀이 음향 물리 이론을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 2022-06-13664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이슬을 톡’…물방울로 전기 만든다 [POSTECH·경희대·안동대 공동연구팀, 연잎 모사한 물방울 기반 발전기 개발] [물방울 기반 발전기 중 최고 효율(13.7%) 달성…6µL 빗방울로도 작동] 여름이 되면 더욱 생각나는 강과 바다. 우리에게 시원한 풍경을 선사할 뿐만 아니라, 전기 에너지를 만드는 데에도 사용되는 ‘착한’ 에너지원이다. 그동안 전기 에너지를 만들기 위해선 이처럼 대량의 물 2022-06-13536 연구성과 IT융합‧전자‧기계 김철홍 교수팀, 빛 이용해 ‘두근두근’ 뛰는 손가락 혈관 본다 [POSTECH·삼성종합기술원 공동연구팀, 광혈류측정기·광음향현미경 결합 시스템 개발] [“맥파 신호 변화에 따른 혈관 이미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손목에 차기만 해도 우리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알려주는 스마트워치. 이 스마트워치는 빛을 이용해 측정한 맥파 신호를 바탕으로 심박수를 알려준다. 이때 심박수의 변화는 수치로만 확인할 수 있다는 한계가 2022-06-09390 대학소식 애플 제조업 R&D 지원센터, 한국 기업에 첨단 기술 전수할 2개 교육 신규 오픈 [‘스마트 프로세스 랩’·‘스마트 퀄리티 랩’…기업의 운영 성과·제품 품질 향상 ‘기대’] [중소기업이면 어느 기업이나 홈페이지서 9일부터 신청 가능] 세계 최초로 한국 중소 제조기업에 첨단 스마트-녹색기술을 전수하기 위해 POSTECH에 설립된 애플 제조업 연구개발(R&D) 지원센터가 이달 말부터 스마트 프로세스 랩과 스마트 퀄리티 랩 등 2개 교 2022-06-091,402 대학소식 POSTECH,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 유치 [과기부 주관 ‘헤테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센터 사업’ 최종 선정…7년간 148.5억 원 투입]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사업 국가 공모에서 ‘헤테로제닉 금속적층제조 소재부품 연구센터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선정된 사업은 차세대 철강산업 성장의 핵심 키워드로 미래 신수요 시장 창출 효과가 크고 다른 산업과의 연계성이 높다는 점에서 금속 전문가들의 2022-06-09314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