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타일형 리스트형 물리 박경덕 교수팀, 단일분자에 ‘이불 덮어’ 생명의 기원 밝힐 실마리 찾았다 [POSTECH·UNIST 공동연구팀,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1나노미터 단일분자 자세 변화 관측 성공] [“향후 난치병 원인·치료법 개발 연구에 적용 기대”] 약 1나노미터(nm, 10억분의 1m) 크기의 단일분자는 상온에서 매우 불안정하게 존재한다. 약 100nm 크기의 코로나바이러스가 공기 중에 빠르게 확산되는 것을 생각하면 단일분자 관측이 얼마나 어려 2022-08-17 READ MORE 연구성과 전체 대학소식 연구성과 웹툰으로 보는 POSTECH 카드뉴스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연구성과 컴공·인공지능 황인석 교수팀, AI가 소통의 방아쇠가 되는 ’순간‘을 찾아드립니다 [POSTECH – KAIST – KOREATECH, 일상생활 밀착형 모바일-클라우드 AI 서비스 개발] 우연히 발견한 한 장의 사진은 사진을 찍었던 그 날의 분위기와 기분 그리고 추억까지 떠올리게 한다. 국내 연구팀이 개인의 추억을 소환하는 서비스를 넘어 공동의 추억을 소환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세대 간 소통의 방아쇠가 되는 ’순간‘을 찾아주는 2021-08-03404 연구성과 IT융합·기계 장진아 교수팀, 관상동맥 경화증 모사하는 3D 프린팅 폐색기 개발 [돼지 심근경색 모델 제작을 위한 맞춤형 3D 프린팅 폐색기 제작 성공] 인간을 대신해 살아있는 동물에게 약물을 투여하거나 외상을 입혀 그 반응을 조사하는 방법인 동물실험은 생물의 기능 규명에 크게 기여했으나, 개체 간 다양성으로 인해 같은 방법으로 질환 모델을 유도하더라도 그 결과는 다른 경우가 많다. 국내 연구팀이 3D 프린팅을 이용해 관상동맥 경화증을 2021-08-02305 연구성과 IT융합 유선철 교수팀 (경북씨그랜트센터), 울릉도 양식장도 24시간 스마트하게 관찰한다 [경북씨그랜트센터, 스마트 양식 시스템 운영 시작] POSTECH이 울릉도 연안 양식장에 스마트 양식 시스템을 시범 설치하고, 운영을 시작했다.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센터장 유선철)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울릉도·독도해양연구기지(대장 김윤배)는 울릉도 양식산업의 첨단화를 위해 ‘스마트 무선 양식 시스템’을 도입했다. 스마트 양식 시스템은 2021-08-02245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해삼’처럼 물 만나면 모양 바꾸는 소프트 액추에이터 [수분 반응 하이드로젤 액추에이터 기반 소프트 로봇 개발] ‘바다의 산삼’이라고 불리는 해삼. 해삼은 울퉁불퉁 둥글고 긴 모양을 하고 있지만, 손으로 만지면 처음엔 부드럽다가 딱딱하게 변한다. 조그마해졌다가 몇 미터씩 늘어질 수도 있고, 죽어 말라비틀어져도 물만 부으면 원상태로 돌아간다. 이렇게 몸이 변하는 해삼의 조직을 모사해 POSTECH 연구팀이 가변 2021-07-28501 연구성과 신소재 조문호 교수팀, 2차원 소재 차곡차곡 쌓아 새로운 인공 물질을 자유자재로 디자인한다 [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원자층 두께의 2차원 반도체 초격자 구조 성장법 최초 구현] 반도체 초격자 초격자(superlattice)*1는 서로 다른 원자의 주기적 배열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합성한 것이다. 이는 고성능 반도체, 레이저, 디스플레이 산업에 널리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LED(발광다이오드) 기술은 질화갈륨 등 화학물질을 수 나노미터 2021-07-26425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아무도 뚫을 수 없는 ‘광학 OTP 보안카드’ 나온다 [광학 보안 플랫폼 위한 픽셀화된 메타표면 기반 능동형 홀로그래픽 컬러 프린팅 기술 개발] 빛의 정보, 색깔, 위상, 편광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하나의 광학 소자 안에서 조절해 위변조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위조 방지 스마트 라벨 및 보안 기술이 나왔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김인기 박사, 화학공학과 통합과정 장재혁씨, 기계공학과 통 2021-07-21419 연구성과 화공 한정우 교수팀, 외부 요인에 따라 내부 격자 모양 변형하는 촉매 설계법 개발 [촉매 표면과 반응물의 상호 작용 조절] 전기화학촉매는 연료전지, 수전해반응, 금속-공기전지 등과 같은 미래의 친환경 에너지 변환이나 저장 기술에 활용되는 핵심 요소이다. 최근 POSTECH(포항공과대학교, 총장 김무환) 연구팀이 외부 요인에 따라 촉매의 표면 구조와 전자구조를 자유롭게 변형하는 촉매 개발 방향을 제안했다. 화학공학과 한정우 교수 연구팀은 2021-07-19316 연구성과 기계 김동성 교수팀, 장기 유사체 배양을 위한 물질투과성 ‘3차원 세포 스페로이드 배양 플랫폼’ 개발 [균일하고 안정적인 배양…생존력·기능 향상된 스페로이드 기대] POSTECH 연구팀이 인체 장기의 기능과 구조가 유사한 3차원 세포 응집체를 장기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고기능성 3차원 스페로이드 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 POSTECH 기계공학과 김동성 교수, 통합과정 김도희씨, 이성진씨 연구팀은 생존 능력과 기능성이 향상된 스 2021-07-14907 연구성과 신소재 김형섭 교수-기계 이승철 교수 공동연구팀, 인공지능으로 주사전자현미경의 한계 극복한다 [POSTECH-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 미세조직 이미지 초해상화 기술 개발] 최신 8K 프리미엄 TV에 적용되는 인공지능 초해상화 영상 기술이 재료과학 연구의 필수장비인 주사전자현미경 영상에 적용된다면 어떻게 될까? POSTECH과 한국재료연구원(원장 이정환) 공동연구팀은 주사전자현미경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분석장비로부터 얻은 저해상도 전자 2021-07-14332 연구성과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팀, 어느 방향이든, 어떤 빛이든 스핀홀 효과 만든다 기계공학과·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 통합과정 김민경씨 연구팀이 최초로 임의 편광 또는 무편광된 입사 빛에서의 광스핀홀 효과를 최초로 검증했다. 이 연구는 광학 분야 국제 과학 저널인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Laser and Photonics Reviews)’ 7월호 표지논문(front cover)으로 선정됐다. 광스핀홀 효과는 굴절·반사 현상에서 빛이 2021-07-13335 첫페이지로 이동이전페이지로 이동1112131415161718192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