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센터 전자/IT융합/기계/융합 김철홍 교수팀, AI로 비표지 광음향 영상을 공초점 현미경 영상처럼: 세포 이미징 기술의 새로운 지평[POSTECH 김철홍·장진아 교수팀, 딥러닝 기반 고해상도·가상염색 영상 기술 개발]최근 전자전기공학과·IT융합공학과·기계공학과·융합대학원 김철홍 교수, 기계공학과·생명과학과·IT융합공학과·융합대학원 장진아 교수,2025-01-17READ MORE 연구성과 기계/화공/전자/융합 노준석 교수팀, I의 손끝에서 탄생한 3D 메타물질, 산업과 미래를 재구성하다[노준석 교수팀, 우주에서 의료까지 초경량·초강도 소재의 새로운 가능성 열어]기계공학과 · 화학공학과 · 전자전기공학과 · 융합대학원 노준석 교수, 기계공학과 통합과정 박정훈 · 노재범, 인공지능대학원 통합과정 신제현 씨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3D 기계적 메타물질*1 설계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 국제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Advance2025-01-17READ MORE 연구성과 물리/첨단원자력 윤건수 교수·기계 진현규 교수 공동 연구팀, 청정 수소, 전자렌지로 단 몇 분만에 만든다[POSTECH,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로 새로운 전환점 제시]물리학과 · 첨단원자력공학부 윤건수 교수, 박사과정 유재민 씨, 기계공학과 진현규 교수, 통합과정 이동규 씨 연구팀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청정 수소 생산 기술의 한계를 극복할 기술을 개발하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회지 A(Journal of Materia2025-01-16READ MORE 연구성과 화학 김원종 교수팀, 고분자 전달체, mRNA치료제의 판도 바꾸다[김원종 교수팀, 생분해성 고분자로 차세대 mRNA 백신 전달체 개발]화학과 김원종 교수 연구팀이 질병관리청과 공동으로 mRNA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생분해성 고분자 기반의 전달체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 학술지 중 하나인 ‘바이오머터리얼즈(Biomaterials)’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전 세계는 mRNA 백신의 잠재력에 큰 관심을 기울2025-01-14READ MORE 연구성과 신소재 김종환 교수팀, 단원자에 기반한 양자 LED 기술 개발[POSTECH-UTS 연구진, 상온에서 작동하는 hBN 점결함 기반 ‘양자 광원’ 기술 구현]최근 POSTECH 신소재공학과 김종환 교수·통합과정 박규나 씨 연구팀은 시드니공대(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이고르 아로노비치(Igor Aharonovich) 교수팀과의 연구를 통해 단일 원자로 구성된 발광소재에 전하를 주입하여 빛을 만들어내는 ‘양자 LED 광원’2025-01-10READ MORE 행사안내 Jan15제32회 ISDS-C/G monthly Forum(ICF) 강남언니, 그 회사의 브랜딩 Dec02[POSTECH & POSCO 인재창조원] 청년AI ·Big Data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 참여 이벤트 Nov25[우리가 사랑한 SF] 12월 6일, SF가 바다를 만납니다. Nov22SHOWCASE24에 포스텍 구성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Nov20제31회 ISDS-C/G monthly Forum(ICF) 레거시 미디어의 미래와 새로운 도전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