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실적 주요수상실적 주요연구실적 화학 박수진 교수팀, 질산리튬 보호막으로 폭발 없는 배터리 만든다 [계면활성제 역할 하는 다기능성 박막 제조를 통한 차세대 전지 개발]세계적인 탄소배출 규제강화 움직임에 따라 전기차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BMW, 폭스바겐, 테슬라, 볼보, GM 등 글로벌 완성차업체들도 연이어 전기차 생산을 높인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배터리 폭발로 인한 화재 사고 등 불안 요소는 여전히 남아 있다.최근 화학과 박수진 교수, 이정인 박사, 2021-04-14 READ MORE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 기계·화공 노준석 교수-화공 김영기 교수 공동연구팀, 손가락 터치만으로 홀로그램 바꾼다 [홀로그램용 메타물질에 전기, 온도, 터치에 반응하는 액정 결합]손동작만으로 홀로그램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구현하는 영화 ‘아이언맨’ 장면의 실현을 앞당길 기술이 소개됐다.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과 화학공학과 김영기 교수팀이 꿈의 소재라는 메타물질*1에 액정기술을 접목, 외부자극에 반응하는 초소형 홀로그램 장치를 개발했다고 밝혔다.머리카락 두께 2020-11-11341 POSTECH 공동연구팀, AI가 새로운 고엔트로피합금 개발 앞당긴다! [고엔트로피 합금 상 예측 위한 딥러닝 기술 개발]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 그리고 노력이 필요하다. POSTECH 공동연구팀이 “합금 이상의 합금”으로 불리는 고엔트로피 합금을 개발하기 위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도입하며 신소재 개발에 한 발짝 다가섰다.기계공학과 이승철 교수·통합과정 이수영씨, 기 2020-11-10585 기계 조동우 교수팀, 염증 직접 치료하는 ‘기능성 스텐트’ 3D 프린터로 출력한다 [방사선 식도염 치료 위한 바이오잉크 탑재형 식도 스텐트 개발]항암치료를 어렵게 하는 것은 치료 과정에서 찾아오는 합병증이다. 대표적인 것으로 방사선 식도염이 있는데, 방사선 치료의 부작용으로 목이 아파서 침을 삼키기 어려워지다 아무것도 먹지 못하고 결국 탈수증상으로 몸 상태가 나빠져 치료를 이어가기 힘들어진다. 하지만 이런 방사선 식도염을 직접적으로 치료 2020-11-09812 화공 박태호 교수팀, 이제는 양자점 탠덤 태양전지로! 최고 효율 달성 [POSTECH-토론토대 공동 연구팀, 양자점과 유기 고분자 접합…효율 개선]태양전지는 햇빛이 있으면 어디에서나 전기를 만들어낼 수 있어 가정용부터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며 우리에게 친숙한 친환경 발전방식 중 하나다. 주된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지만, 이보다 좋은 효율의 태양전지 소재를 찾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그중에서도 서로 다른 태 2020-11-02363 생명 김상욱 교수팀, 항암제 치료효과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술 개발 [환자유래 인공 미니장기의 항암제 반응성과 항암제 표적 단백질과 연관된 유전자의 전사체 정보 학습]약물유전체학*1의 등장으로 기존에 축적된 다양한 약물반응데이터를 토대로 자체적인 알고리즘을 도출, 사람마다 다른 약물 반응성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연구가 활발하다. 사람의 생체반응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양질의 학습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2020-10-30863 신소재 정운룡 교수-화학 박수진 교수 공동연구팀, 늘어나는 배터리, 늘어나는 회로와 만나다 [늘어나는 배터리로 작동되는 독립형 전자 장치 개발]<스파이더맨>, <토르>, <카멜리칸> 등 마블 영화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뭐니 뭐니 해도 주인공의 화려한 액션이다. 조금 면밀히 살펴보면, 이런 화려한 액션은 역시 ‘옷빨’이다. 몸에 딱 붙어서 힘을 강화하거나 전기를 발생시키기도 하고, 총알을 막아내기도 한다. 그렇다면 2020-10-27469 POSTECH 경북씨그랜트센터, 똑똑한 물질로 바다의 여인 지킨다 [첨단 IT 기술 활용 스마트 해녀 안전 시스템 개발]POSTECH이 경북지역 해녀 문화를 보전하고, 물질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해녀 안전시스템을 개발해 보급에 나섰다.경북 동해안에 사는 해녀는 1,500여 명으로 제주를 제외하고 가장 많다. 하지만 60대 후반이 넘는 고령자가 대부분이며, 해마다 장시간 물질이나 무리한 2020-10-22744 전자 양현종 교수팀, ‘AI 전자현미경’이라면 초보자도 척척! [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전자현미경 개발]인간의 지적 욕망은 현미경의 개발로 더 작은 것, 미세한 것 심지어 살아 움직이는 것까지 들여다볼 수 있게 됐다. 여기에 한 발 더 나가 인간의 눈(휴먼 비전) 한계를 넘어서 기계의 눈(머신 비전)을 장착한 인공지능 현미경이 나왔다. 초보자가 활용해도 전문가 수준의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전자전기공학과 양현종 교수 2020-10-20502 신소재 강병우 교수팀, 전기차 6분이면 90% 충전할 수 있다 [입자 크기 줄이지 않고 부피당 고에너지 밀도와 고출력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이차전지 양극 소재 비밀 밝혀]최근 테슬라(Tesla)를 필두로 하여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전기차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와 달리, 이차전지의 동력만으로 자동차를 움직이기 때문에 배터리의 성능이 곧 자동차의 성능이 될 수 있다. 하지만 느린 충전 시간과 2020-10-19643 화공 정대성 교수팀, 자유롭게 색 재현하는 OPD 광센서 나온다 [화학적 도핑 이용한 광다이오드의 자유로운 색 조절]포토다이오드는 빛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센서이다. 유기 포토다이오드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색 대응 파장대의 조절이 가능해 컬러필터 없이 색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색 조절 기술들은 대부분 포토다이오드를 두껍게 만들어 광 왜곡을 일으키기 때문에 작고 얇은 화면을 2020-10-15374 First Page12345678910NextLast Page